50년대 중반부터 12ax7이 6SC7보다 대중적이 된 것 같습니다.
이 두관은 하나의 진공관에 두개의 Triode (삼극관)이 들어있습니다. 12ax7 경우는 히터 직렬 연결시 12.6v, 병렬 연결시에 6.3v를 씁니다. 명칭에 들어있는 12의 의미가 12v 히터를 쓸 수 있다는 뜻입니다.
정류관은 캐쏘드와 플레이트 2개의 구성요소입니다.
12ax7으로 대표되는 프리관은 그리드(grid), 플레이트(plate, anode), 그리고 캐쏘드(cathode) 3개의 구성입니다. 그래서 3을 뜻하는 tri로 시작합니다. 구성요소가 4개면 tetrode (tetra = 4), pentode (penta = 5) 이렇게 늘어납니다.
EL34, EL84 는 필립스가 만든 규격이고 5개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pentode 입니다.
6L6, 6V6, 5881 등은 pentode과 거의 같구요. 약간 다른면이 있어서 beam tetrode (beam + tetrode = 5개) 라고 부릅니다. 흔히 beam power tube라고 부르구요.
다시 본론으로 돌아가서 12ax7은 앰프의 기본요소인 3가지
grid (=control grid, 그냥 그리드라고 하면 control grid를 지칭합니다.)
plate
cathode
이렇구요.
cathode는 그라운드 쪽으로 연결됩니다.
plate에는 고전압이 걸리구요
grid가 입력단입니다.
이 기본 구조는 pentode, beam power tube 등으로 구조가 복잡해져도 같습니다. 기본 세가지는 언제나 있어야 합니다.
저항과 캐쏘드바이패스캡이 그라운드 쪽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진공관의 캐쏘드입니다.
플레이트는 고전압이 걸리구요. B+가 연결되어 있으면 그게 플레이트입니다.
그리드는 입력단입니다.
아래 그림이 12ax7과 같은 계열 12ay7 등의 구조입니다. 5751도 같은 계열이라 동일합니다.
3번, 8번의 캐쏘드를 가열하는 히터는 9번 공통이고 각각 4,5번으로 연결되구요. 핀은 4,5번이 분리되어 있지만 대부분 앰프는 히터를 개별적으로 동작시킬 이유가 없어서 4,5번 핀을 묶어서 납땜합니다.
1,2,3번이 한개의 앰프
6,7,8번이 또 한개의 앰프입니다.
이걸 각각 Unit A,B 혹은 Unit 1,2 등으로 묶어서 부르구요.
아래 그림은 https://robrobinette.com 에서 받은거구요. 거기 좋은 자료와 설명이 많습니다.
위에서 보면 입력잭이 그리드로 연결됩니다.
unit A의 플레이트(출력)이 커플링을 거쳐서 unit B의 그리드로 다시 들어갑니다.
전자가 캐쏘드에서 플레이트로 이동하기 때문에 플레이트를 출력이라고 하는데
캐쏘드, 플레이트, 이 둘 사이의 고전압을 포함해서 출력단이라고 보는게 자연스럽습니다.
아래 그림도 역시 https://robrobinette.com/How_Amps_Work.htm 에서 받았습니다.
입력잭이 2번으로 들어가니까 그게 그리드,
3번핀은 캐쏘드 저항과 바이패스캡을 거쳐서 그라운드로 연결되구요.
1번 플레이트에서 그 다음 스테이지로 가는데 커플링, 볼륨팟을 거쳐서 7번 그리드로 들어갑니다.
8번핀은 캐쏘드 레지스터를 거쳐서 그라운드로
6번핀은 커플링을 지나서 파워관 그리드로 들어갑니다.
이거면 프리관과 프리부 설명은 충분할겁니다.
Be the first to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