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 혈액형에 대한 단상

  • 형액형에 따라 성격의 공통점이 있다고 말한 친구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같이 일하는 분께 또 비슷한 얘기를 들었습니다.

    두번째 이벤트가 있기 전까지는 첫번째 이벤트를 기억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많은 경우에 그랬던 것으로 믿습니다. 한번 경험하고 기억에 남는 것들도 있지만

    여러번 들었지만 관심 없는 얘기가 특정 대상을 통해 접하면 의미를 가집니다.

    미디어에 영향을 많이 받는 시기는 개인에게나 사회에게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양상은 모두 다릅니다.

    조금 전까지 넷플릭스에서 The Good Doctor라는 시리즈를 보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에 문득 혈액형이 한가지가 아니라는 사실이 새로웠습니다.

    사람의 몸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방법이 일정한데 혈액형은 왜 여러가지가 있는건가?

    필요한 경우에 한 사람 몸의 다른 부분에서 떼어낸 뼈나 조직, 혈관 같은걸 쓰는 장면이었습니다.

    그리고는 구글에서 암의 발생 빈도와 혈액형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찾아봤습니다.

    혈액형에 따라 더 높거나 낮은 빈도로 발생하는 암의 종류가 달랐습니다.

    그리고 AB형이 다른 혈액형에 비해서 발생 빈도 자체가 낮은 항목이 제법 보였습니다.

    가족끼리 장기를 기증하는 장면도 종종 봤는데 가족이나 남에게 장기를 기증할 때 혈액형이 늘 기준인지 궁금해졌습니다.

    Lo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