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 스피커 도핑 (doping)

  • 5F1 복각에서 쓰던 10J11 스피커 소리가 뭔가 이상해서 열어봤습니다. 엣지에 자잘한 크랙이 전체적으로 있었습니다. 거기에 꺼내면서 잘못 건드리는 바람에 콘지도 약간 찢어졌습니다.

    콘이 찢어져서 수리를 해도 소리에 영향이 없는게 지금까지의 경험입니다. 스피커에 따라 다르겠지만 제가 써본 5,60년대 Jensen 스피커들은 그랬습니다.

    엣지에 크랙이 많아지면 앰프나, 진공관이 좋아도 알니코 특유의 맑고 선명한 소리가 나지 않습니다. 앞으로 또 몇십년을 써야 하기도 하고, 소리도 제대로 내기 위해서 청계천 연음향에 오랫만에 다녀왔습니다. 중고로 구한 10J11의 제대로 된 소리를 이제서 처음 듣고 있습니다.

    웨버스피커는 구매할 때, 도핑(dope)의 정도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저는 도핑 옵션이 없던 시절에 구매해서 웨버의 도핑은 어떤지 모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도핑이 되어서 나오는 스피커도 많고, 이런 도핑액을 별도로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https://www.amplifiedparts.com/products/coating-gc-electronics-q-dope-2-oz

    스피커에 따라서 도핑 여부가 소리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고 들었습니다. 제가 가진 저출력 빈티지 Jensen 스피커들은 크랙이 막 시작되어 도핑을 한 경우에 소리 차이를 느끼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도핑하지 않은 같은 모델과 비교를 해보니 차이가 있기는 했구요. 그리고 일주일 정도 지나서 다시 비교했더니 구분을 하지 못했습니다. 도핑액이 완전히 마르는데 시간이 걸리는 것 같습니다.

    크랙이 꽤 진행된 스피커에 도핑을 하면 바로 소리가 살아납니다.

    도핑액을 막 바르고 나면 건조되는데까지 몇시간이 걸립니다. 엣지에 광택이 있는 부분입니다. 아래 사진이 도핑한 직후입니다.

    몇시간 후에 마르고 나면 아래 사진처럼 광택이 사라집니다. 이 때 엣지를 톡톡 때려보면 종이 콘을 때리는 소리만 납니다. 도핑액이 좋아야겠고, 잘 바르는 요령도 있어야겠구요.

     

    #스피커 #Jensen

    Load More...
  • en this CTS 1M potentiometer w/spst switch looks right for 5F1

  • Never used. Nylion shaft – no washers or nuts. 1377940 600-01-33. AUDIO Taper 10% at center position. Lot of 10.

     

    Load More...
  • ko 12ax7, 12au7 초단관 미국관 유럽관 성향

  • 인터넷에서 진공관을 가지고 얘기하는건 조심스럽습니다. 그렇게 망설이다가 써봅니다. 초단관에 많이 쓰는 12ax7, 12au7 이 두가지에서 경험한 것입니다.

    억양 차이에서 오는 느낌을 진공관에서도 받았습니다. 흑백TV 시절의 영화와 요즘 영화를 보면 불과 몇십년 사이에 억양이 달라졌습니다. 에전에는 똑똑 떨어지는 발음이었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록음악은 미국관에서 발음이 더 잘 들립니다. 외국 생활이라고 해야 일본이라 서양의 실생활은 겪어보지 못했습니다. 영화에서 보면 미국발음 영국발음이 다른데 노래로 들어보면 차이가 별로 없습니다. 영국 밴드를 미국밴드로 알고 있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있었습니다.

    비틀즈 음악은 앰프, 진공관, 스피커 가리지 않고 가사를 읽으면서 들을 수 있습니다. 에릭클랩튼 음악은 미국관으로 들으면 목소리와 발음이 더 잘 들립니다. 흑백 영화때처럼 잘 들립니다. 

    텔레풍켄이나 뮬라드로 들으면 보컬이 음악의 일부로 들립니다. RCA나 텅솔로 들으면 에릭클랩튼 보컬도 잘 들립니다.

    기타소리도 비슷한 느낌입니다. RCA, 텅솔로 들으면 기타소리가 나한테 가깝게 다가옵니다. 텔레풍켄이나 뮬라드로 들으면 기타소리가 음악 안에 있는 것으로 들립니다.

    암페렉스는 제 기준의 유럽관의 성향과 미국관의 성향을 다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암페렉스를 세가지로 봅니다.

    50년대 후반의 암페렉스, 텔레풍켄, 뮬라드는 비슷한 부드러움이 있습니다.

    60년대 초반부터는 텔레풍켄, 뮬라드, 암페렉스의 성향이 달라지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관 상태에 따라서 다르기는 합니다. 상태가 좋은 관을 기준으로 이 때부터 암페렉스는 미국관처럼 보컬이 잘 들리기 시작합니다.

    이런 표현이 적당한지 모르겠는데 유럽관을 오케스트라같다고 하면 미국관은 밴드같고, 유럽관을 고음, 중금, 저음으로 나눈다면, 미국관은 보컬, 기타, 드럼, 베이스가 하나하나 잘 들리는 느낌입니다.

    60년대 중반의 암페렉스는 이제 가장 좋은 미국관 같습니다. RCA 블랙플레이트의 미래판이라고 저는 표현합니다. 음 하나하나가 예쁘게, 똑 부러지게 들립니다. 텔레풍켄과 뮬라드도 음 하나하나가 똑 부러지지만 여전히 오케스트라적입니다. 더블베이스 소리로 치자면 세 브랜드 뭘로 들어도 소름이 끼칩니다. 손가락이 줄을 튕기는 마찰음이 다 들립니다. 더블베이스만 가지고 얘기하자면 RCA와 GE 블랙플레이트는 흥분을 시킵니다. GE 오성관 60년대는 성향이 다르지만 명품 유럽관에 견주어 부족함이 없습니다.

    해상도를 기준으로 한다면 유럽관에 손이 갑니다. 이렇게 보면 암페렉스는 여전히 유럽관입니다. 동서독이 나누어진 시절에도 필립스는 세상을 아울렀던 것 같습니다. 저는 필립스가 동서독 통일에도 영향을 꽤 주었을걸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Load More...
  • en Belden E3462-C cord makes my tweed amps dead quiet

  • needed a longer AC cord for my 5D3 and tried E3462-C cord. this cord noticeably reduces noise even while it has more amps and computers share the same AC and audio source.

    then I replaced all the AC cord with this for my tweed amps. the most dramatic change comes to ’59 5F1 which was quiet alone but it cannot be hooked up with AB box. even 60hz hum was loud when it shared the same AC power source without AB box. ground lift didn’t work either. it just shifted the noise frequency

    this seller has the cable. but, only one of three was correct. two of them were E3462 without C. they are metal shielded and the noise was louder than 2 prong cord.

    https://www.ebay.com/itm/Black-CPU-Power-Cord-Cable-SVT-E-3462-C-LL-30830/253801406241

     

    found another seller had the correct cable. and finally all of my tweed amps are dead quiet at any circumstance with E3462-C. even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and modern 5F1 with or without the center tab.

     

    and this typical ac cord wasn’t that bad for 5D3 but there is a huge difference with 5F1. E3462-C is still way better for 5D3 as well.

     

    Load More...
  • ko 진공관 앰프 전원케이블과 그라운드 루프 험 (hum)

  • 하나씩 찾아서 해결하는데 1년이 걸렸습니다. 보통 얘기들 하는 것과 전혀 다른 현상도 찾았구요.

    – 필터캡의 용량, 히터 와이어링, 진공관, 납땜의 상태, 전원케이블의 스펙

    이런 것들이 다 영향을 줍니다. 여기에 문제가 없으면 컴퓨터, 전기인두를 같이 꼽아도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처음에 문제를 인식한 것은 5F1 챔프 때문이었습니다. 이 앰프 하나만 쓸 때는 험이 없습니다. 아주 조용합니다. 싱글픽업 특유의 노이즈, 사방이 다 조용할 때만 겨우 들리는 파워트랜스포머의 60hz 험이 전부였습니다.

    다른 앰프를 켜거나 컴퓨터, 혹은 오디오인터페이스와 연결하면 고주파 험이 증가했습니다. 기타 볼륨 올리고 기타줄이나 브리지에 손을 대지 않을 때 나는 그런 고주파 노이즈였습니다.

    반면 푸시풀인 트위드딜럭스는 여러 앰프를 연결해도 그라운드 험이 증가하는 정도가 미비했습니다. 신경을 쓰지 않으면 모를 정도로요.

     

    그러다가 트위드딜럭스와 복각 5F1의 전원케이블을 긴 것으로 교체했습니다. 개당 몇천원씩 주고 여유있게 구입을 했는데, 그 중에 하나가 벨덴 E3462-C 케이블이었습니다. 판매 페이지에는 다 그렇게 되어 있었는데 섞여서 왔습니다. 그 결과는 여기 있습니다.

    https://slowbean.net/thread/진공관-앰프-파워케이블/

    알루미늄이나 금속선 braided 실드가 있는 케이블은 E3462 입니다. C가 없습니다. 알루미늄이 좀 덜했지만 원래 달려있던 싸구려 세가닥 선이나 그라운드가 없는 두가닥 보다도 험이 더 컸습니다.

     

    그러면서 알게 된 사실이

    – 평범한 세가닥 전원선을 E3462-C로 교체한 앰프는 험이 없고, 같은 전원이나 신호를 공유하는 다른 기기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다는 것

    – 원래 고주파 험이 증가했던 싱글엔디드 5F1에 남는 쓰고 남은 세가닥 선을 연결하고 나서는 고주파 험이 줄었지만 저주파 험은 남아있던 것. 그리고 여전히 전원이나 신호를 공유하는 기기가 있는 경우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

    이렇게 두가지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푸시풀과 싱글엔디드 노이즈 차이는 여기에도 있었습니다. 푸시풀은 대충 아무 전원선이나 써도 (물론 실드선 제외) 이런 영향을 덜 받습니다. 싱글 엔디드는 빈티지이건 복각이건 영향을 받는 정도가 더 컸습니다.

     

    며칠전에서야 세번째 E3462-C가 도착했습니다. 그래서 앰프 세대를 모두 같은 선으로 교체했습니다. 지금의 상태는 앰프 세대를 모두 켜고 신호를 어떻게 공유해도 그라운드 험이 없습니다.

    앰프 세대 중에 하나만 규격이 모자라는 선을 써도 전체, 그리고 특정 앰프의 그라운드 험이 증가합니다. 반대로 세개의 앰프 전원선을 모두 E3462-C로 교체하고 나서는 히터 센터탭이 있는 복각 챔프와 센터탭 없는 오리지날 챔프의 노이즈 차이도 없습니다.

    https://slowbean.net/thread/진공관-앰프-필라멘트-히터-와이어링/

     

    회색선이 59년 챔프에서 떼어낸 선, 7,80년대까지도 늘 보이던 가느다른 전원선이 55년 딜럭스에서 나온 선입니다.

    왼쪽 선은 그냥 선만 세개 들어있습니다. 오른쪽 E3462-C 선은 16게이지라 더 두껍기도 하지만 섬유실드가 아주 두껍게 들어있습니다. 게이지 보다는 그 섬유실드가 있고 없고 차이가 더 클거라고 짐작됩니다.

    Load More...
  • ko 안동 밥집, 옛마을

  •  

    안동 기차역근처이자, 구 문화회관 근처에 자리한 옛마을.

    노모와 아들, 오래 동고동락한 이모가 함께 꾸려가는  이 밥집은,

    아침 일찍 허기를 채우려는 노동자들과 지난밤에 술꾼들과 일찍 일어나 한적한 도시를 배회하는 관광객들에게 싸고 푸짐한 아침식사를 위해 문 열린 곳이다.

     

    일찌감치 더워진 계절을 맞아,

    원래는 콩나물 국밥과 설렁탕, 꼬리곰탕이 메인이지만

    통국수와 (냉, 온)잔치국수를 여름 별미로 저렴한 가격에 내놓는다.

    특히, 옛날식 할머니표 콩국수와 잔치국수를 그리워하는 이들이라면,

    맛보시길 추천한다.

    계절 별미 메뉴라 팔아서 이문을 남긴다기보다는 손님들에게 접대 차원이라니,

    더더욱 그 마음씀씀이까지 경험해보시길.

     

    Load More...
  • ko 노르웨이, Vennesla Library

  •  

    지난 2014년에 시작한 노르웨이 공공예술단체  ‘미래도서관(Future Library)’ 으로부터

    소설가 한강이 올해의 작가로 선정돼 원고를 전달했다.

    이번에, 그녀가 전달한 원고는 앞으로 95년뒤에  출간된다.

     

    ‘미래도서관(Future Library)’ 사업은,

    100년간  매년 전세계 작가 1명씩을 선정해

    미공개 작품을 작가로부터 전달받아 노르웨이 오슬로 외곽 숲에 100년간 묻어두었다가

    심어둔 나무 1천 그루를 사용해 오는 2114년에  출판하는 공공예술 프로젝트다.

     

    https://www.futurelibrary.no/

     

    <미래의 도서관책은 100년에 걸쳐 전개되는 살아있는 유기적 예술작업입니다. 

    나무가 성장함에 따라 프로젝트도 함께 숨쉬며 자라나겠죠. 나는 나무 나이테 하나하나가  책 한 장 한 장을 상징한다고 믿어요. 연도별로 기록되고 활성화되고 구체화되는, 기록되지 않는 단어들이죠. 사람들은 숲에 머물며 세기가 바뀌는 것을 경험하게 될 것이고, 서서히 성장해가는 나무들은 작가들의 아이디어를 기록하는. 즉 보이지 않는 힘을 담는 그릇이 될 것입니다. 또한 미래의 도서관은 자연환경에 핵심을 두고 있어요. 우리 모두는 생태환경과 밀접하게 교류하고, 상호작용하며 살아가야만 오랜 기간 생존할 수 있죠. 그런 의미에서 이 기획은 얼마 남지 않은 짧은 시간 동안 우리가 삶을 위해 어떤 결정을 내릴 것인지 의문을 제기합니다. 이 기획에 주어진 시간은 100년, 우주의 관점에서 

    100년이란 시간은 결코 길지 않죠. 그러나 인간의 관점에서 100년은 매우 많은 것을 변화시킬우리의 수 있는 시간이예요. 이 프로젝트는 현재 이것을 진행하는 우리의 수명보다 훨씬 더 길게 진행되겠지만 우리는 이를 이어갈겁니다. 아마도 우리는 이 프로젝트의 결말을 목도하지 못하겟죠. 참석자 중 매우 장수하는 사람이 있다면  몇몇에게는 가능할지 모르겠군요.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 프로젝트가 지금의 우리와 이를 누릴 다음 세대를 강하게 연결해 줄 것이란 겁니다. 그리고 우리의 정신은 그들이 게승할 겁니다.”

    -케이티 패터슨.

       

     

     

    한강은 현지시각으로, 5월 25일에 치러진  전달식에서는

    그녀가 한국에서 가져 간 흰 천으로 싸 맨  원고를 스코틀랜드 예술가,

    케이티 패터슨에게 넘기고 제목을 발표했다.

    그녀가 공개한 소설 제목은 “사랑하는 아들에게” 였고,

    분량이나, 내용은 봉인된 채 ‘오슬로 도서관’에  보관된다.

    <사진출처. http://m.blog.yes24.com/health21c/post/10546111>

     

    한강은, 흰 천을 사용해 원고를 봉인한 의미에 대해서,

    “숲과의 결혼,  재탄생을 기다리는 장례식, 또는 한세기 동안 긴 잠을 위한 자장가’ 라고 했다.

     

    덧붙여,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흰 천이 신생아를 위한 배냇저고리, 장레식 때 입는 소복,

    잠잘 때 덮는 이불로도 쓰인다고도 했다.

     

    “마침내 첫 문장을 쓰는 순간,  나는 100년 뒤의 세게를 믿어야 한다. 

    거기 아직 내가  쓴 것을 읽을 인간들이 살아 남아 있을 것이라는 불확실한 가능성을.

    인간의 역사는 아직 사라져버린 환영이 되지 않았고,  이 지구는 아직 거대한 무덤이나 

    폐허가 되지 않았으리라는, 근거가 불충분한 희망을 믿어야 한다.”  -한 강. 

     

    Text description provided by the architects. For their new library and community center in Vennesla, Norwegian architects Helen & Hard bring a sophisticated elegance to the public facility in Norway. The project links an existing community house and learning center, and seeks to become an extension of the main city square with its transparent facade and urban loggia. The expressive ribs combine structure, technical infrastructure, and functionality into one architectonic element that creates a dynamic aesthetic identity for the project to meet the client’s original intent to mark the city’s cultural center.

    https://www.archdaily.com/209340/vennesla-library-and-culture-house-helen-hard/5005b2a828ba0d0779001433-vennesla-library-and-culture-house-helen-hard-photo

     

    도서관 디자이너의 이야기도 만날 수 있다.

    https://youtu.be/ZJubMa6vojo

     

    Load More...
  • ko 똑같이 생겼는데 전혀 소리가 다른 12ax7 두개 – GE, Amperex

  • 암페렉스는 필립스의 프리미엄 브랜드입니다. 좋은게 당연하기는 한데, 이건 미국산입니다. 내부 구조가 완전히 같은 관이 몇개 있습니다. GE 5751, GE 12ax7 이렇게 있습니다.

    소리는 비교할 공통점을 잘 모르겠습니다. GE 생산품 같은데 비슷한 구석도 없습니다. 60년대까지 있던 암페렉스 미국공장 출신인지, GE five star 시리즈와 같은건지 몇가지 추측만 합니다. 12ax7이 아니고 5751인가 했는데 음량이 가지고 있는 모든 12ax7 중에서 큽니다.

    숏플레이트 중에서 RCA Command 5751, 암페렉스 12ax7, 그리고 지금 이 미국산 암페렉스가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얘들을 써보면 생긴게 같아도 소리가 극단적으로 다를 수 있다는게 실감납니다. 여전히 보이지 않는 어디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구요.

    Load More...
  • 특정한 모델이 그렇기도 하고, 관의 상태에 따라서도 다를텐데 마이크로포닉이나 먹먹한 톤 때문에 대부분의 long plate 프리관은 챔프하고는 별로 궁합이 좋지 않았습니다. 심지어 텔레풍켄도 전혀 텔레풍켄같지 않았구요. 반면 푸시풀 트위드 딜럭스에서 텔레풍켄은 정말 좋은 소리를 내줍니다.

    이 12ax7wa 는 66년산입니다. 꽤 오래 생산된 것 같구요. 이것과 같은 관을 전에 가지고 있던 적도 있구요. 그런데 얘만 챔프에서 소리가 괜찮습니다. 뭐가 다른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여전히 암페렉스 숏플레이트하고 비교하면 얘는 존재감이 조금 부족한 소리입니다. 드라이브 질감은 좋구요. 시도했던 여러 롱플레이트 12ax7보다 월등히 좋고, 어지간한 숏플레이트보다도 밸런스가 좋습니다. 적당히 sag해서 챔프 특유의 드라이브 질감하고 잘 맞구요. 얘도 어지간한 앰프에 넣어서 연주를 하던 음악을 틀던 대체로 좋습니다.

     

    그래도 싱글엔디드인 챔프에서 암페렉스만큼 만족스러운 다른 관은 없었습니다. 지금 이 텅솔 12ax7은 전혀 다르네요. 딜럭스 5D3에 텔레풍켄처럼 대역이 넓고 선명하면서 부드럽습니다. 싱글엔디드와 롱플레이트의 어색한 궁합을 전혀 느끼게 하지 않습니다. 모든 면에서 다 마음에 듭니다. 오리지날 챔프에서도 그렇고 B+ 전압이 유난히 높게 만들어진 복각에서도 그렇구요. NOS인데 24불에 구했습니다.

     

    Load More...
  • en the only long plate 12ax7 I like with 5F1, Tung-Sol

  • I’ve tried a few long plate 12ax7 tubes like black plate RCA, one of the common Telefunken, gray plate Sylvania with copper grid posts, and this one. Telefunken sounds great with 5D3 but ain’t good with my original and recent 5F1 amps.

    this Tung Sol sounds like Telefunken with a modern 5F1 has Heyboer HTS-12005 PT. this PT’s B+ is over 400V with usual 5y3gt tubes. and this 12ax7 sounds great with the original 5F1 to me. grabbed off Reverb.com for $24

     

    Load More...
  • en one beautiful tweed deluxe 5C3 came from Feb. 1955

  • it’s one of the tweed amps led me to this tweed world. it’s typical 5C3 with two of 6sc7

     

    Load More...
  • en Fender tweed deluxe 5D3 b+ voltage with a few different rectifier tubes

  • 377V with Bendix 6106 5y3wgt which has purchased as NOS and less than 1 year old

    366V with Hytron 5y3wgt which is many many years old

    369V with GE 5y3gt less than 1 year old

    393V with GE 5v4g which I purchased as NOS and less than 1 year old

    396V with RCA 5v4g as NOS and less than 1 year old

    370V with another Bendix I have purchased as slightly used condition a couple of months ago

    btw, I recently scored this Bendix for $25 off ebay. but it just killed my 5F1’s fuse and the B+ is only 266V with 5D3. not every single Bendix lasts like forever

    and, figured out why I had 60hz hum with this 5v4g. this one shows only 307v. I’m going to update the 5v4g thread

     

    Load More...
  • ko 정류관이 과연 소리에 영향을 줄까요?

  • 플라시보가 늘 있다고 생각은 하는데 그렇다고 그게 스스로 감지할 수 있는건 아니더라구요. 환상에서 깨는 순간도 생기고, 무심히 있다가 어떤 계기로 뭔가 발견하는 때도 있구요.

    정류관에 따라 B+ 전압은 약간씩 다릅니다.

    펜더 챔프를 기준으로 GE NOS 5y3 320v, 오래 사용한 RCA 316V, Bendix 322v 나옵니다.

    이론적으로 보면 316V 나오면 sag한 맛이 살면서 브레이크업 시점은 빠르고 클린 헤드룸은 작아야 합니다. 그런데 실제로 GE, RCA 저 두 관을 이 앰프 저 앰프에 아무리 바꾸어봐도 차이를 모르겠습니다. 4V 차이나는데 소리 차이는 저한테 안들립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Bendix는 GE보다 겨우 2V 높은데 소리 차이가 납니다. 그럼 남은건 voltage drop하고 current 아닌가 합니다. 이게 더 영향을 많이 주는 것 같구요.

    59 챔프에 있던 블렉플레이트 RCA를 깨트리면서 5751을 경험하는 계기가 되었고, 62 챔프의 필터캡과 정류관이 죽어서 구한 Bendix 덕에 정류관까지도 관심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종종 놀러가는 포럼에서 말로만 듣던 Ken-Rad 6v6gt/g 소리를 막상 들어보고 나서는 미국산과 유럽산 6v6 계열이 궁금하구요.

    정류관은 소리 차이가 없어야 할 것 같은데 있으니 계속 궁금합니다.

    Load More...
  • en 1962 Fender 5F1 champ

  • I met this little guy again this morning. and gave it RCA Command 5751 as a present. I’ve tried more than a few 12ax7 tubes with this Champ for a while. and love the sound with this 5751. and, one 6v6gt from Valvo factory in Frankfurt is coming to me for this Champ.

    the 3rf filter cap is Sprague which replaced the big 8uf 500V Astron minimite last winter. it still has the 2 prong power cord even with the death cap. this 57-year-old Champ is beautiful and sounds great of course. but didn’t sing as much as my ’59 Champ till this morning. now it does sing like a magic.

    pictures of the transformers are here

    https://slowbean.net/thread/gathering-information-on-vintage-tweed-champ-output-transformer/

     

     

    Load More...
  • ko 묘한 우연으로 64년된 냉납을 찾았습니다.

  • Jensen P12Q를 구했을 때, 캐비넷의 단자가 고장나서 몇십년째 방치된 상태라서 콘에 구멍을 제외하면 NOS 상태였고 가격도 좋았습니다.

    오래 살아남은 악기들은 보관이 잘 된 경우도 있지만 어딘가 하자가 있어서 사용빈도가 낮아서 그런 경우도 있을겁니다. 제가 최근에 손본 제 앰프나 친구들 앰프를 보면 다들 묘한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걸 고치면서, 또 친구들의 좋은 연주를 들으면서 하드웨어나 톤에 대해서 조금씩 배웠습니다.

    복각 5F1 챔프는 새것이라 아무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며칠 전에 쉭쉭거리는 바람소리같은 잡음이 들리면서 음량이 줄었습니다. 그런데 몇주 전에 동일한 증상이 55년산 5D3 딜럭스에도 있었습니다. 전원을 껐다가 켜면 사라졌구요. 그러다가 5F1에서 그 증상이 나타나기 전날 다시 같은 문제가 있었구요.

    막내딸의 3D펜에 쓰는 플라스틱 막대기로 선을 하나씩 건드려봤습니다. 12ax7 2번핀을 건드렸을 때, 그 증상이 나오더라구요. 기판 뒷면에 연결되어 있어서 교체하지 않은 원래 선입니다. 선을 다시 납땜했더니 증상이 없어졌습니다.

    5D3 소켓 납땜을 눈이 침침할 정도로 한참 봤습니다. 먼저 12ay7 들어가는 v1, 12ax7 들어가는 v2를 살폈습니다. 얘는 건드려도 변화는 없었지만 어느 순간에 소켓 두개의 납땜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고 인두를 따라서 납똥이 따라가다 굳은 자리를 찾았습니다. 그 두개를 다시 납땜했습니다. 지난 며칠간 제가 깨어있는 내내 틀어두고 음악을 틀거나 기타를 치고 있습니다. 둘 다 제대로 고쳐졌습니다. 

     

    Load More...
  • ko ebay에 올라온 싸고 좋은 6v6gt, 12ax7 몇가지

  • 계속 찾고 있는 6v6gt 관이 두가지 있습니다. 그 중에 한가지는 암페렉스의 같은 네덜란드 필립스 공장, 그리고 역시 필립스 산하의 브뤼셀 공장에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이 6v6gt는 Pope 이라는 필립스 브랜드로 판매되었습니다. 멀라드 상표를 달고 있기도 하고 그 외에 다른 필립스 산하 브랜드를 달고 있기도 합니다. 그리고 일반 6v6gt 관에 비해서 상당히 고가입니다. 

    이 글에 있는 코드북 덕분에 원하는 관을 찾기가 쉬워졌습니다.

    https://slowbean.net/thread/amperex-진공관-생산공장-생산일자-코드-필립스-산하-valvo-mullard/

     

    우선 수치가 110% 전후의 상표가 지워진 관입니다. 판매자는 이 6v6gt가 뭔지 모르는 것 같습니다.

    https://www.ebay.com/itm/Radio-Tubes-6V6GT-6V6-Philips-ECG-England-VP-Logo-Test-112-107-Matched-PAIR/352319256823

     

    그리고 이 판매자는 Tronal, Ferranti 등의 필립스 산하 유럽산 6v6gt를 가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암페렉스와 멀라드 공장에서 만들어진 Adzam 상표의 NOS 12ax7 여러개를 저렴하게 팔고 있습니다. 벨기에 판매자라서 가능한 것 같습니다. 멀라드의 B코드 12ax7이 하나 싸게 올라와 있는데 비대칭이라서 Pi에는 못쓰지만 V1에는 써도 되겠네요. 그 외에 대부분 Adzzam 12ax7은 암페렉스로 보입니다.  

    https://www.ebay.com/str/euro-moments?_trksid=p2047675.l2563

     

    이 6v6gt 판매자도 자기가 파는 물건이 뭔지 모르는 것 같구요. Heintz and Kaufman에서 당시 텅솔이나 켄라드 OEM으로 생산한 것입니다. 5개가 국제 운송비 포함해서 58불입니다. 이스라엘에서 발송됩니다. 다음달까지 한세트라도 남아있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평생 6v6는 신경 안써도 되겠네요.

    https://www.ebay.com/itm/232339085191

     

    Load More...
  • 경북독립운동기념관 6월 보훈의 달 행사

  •  

    Load More...
  • ko 안동시·경북문화콘텐츠진흥원, 오감콘텐츠 육성센터 입주기업 모집

  •  

    안동시가 경북문화콘텐츠진흥원과 함께 구도심 되살리기에 나섰다.

    우선, 비어있는 상가를 중심으로 콘텐츠 육성센터를 조성해,

    “오감(五感)을 활용한 콘텐츠 관련 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오감(五感)을 활용한 콘텐츠 재생산과 관련 기업의 자생력을 돕고

    특화된 판로개척을 위해 공간 임대료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신청은, 5월 22일부터 6월 21일까지이고, 지원은 2년간이다.

     

     

    Load More...
  • ko La mode en Côte d’Ivoire

  •  

    여행의 초상화 – 코트디부아르의 패션

    Portraits de voyage – La mode en Côte d’Ivoire

     

     

    “왁스(Wax)”는 광택을 나게 하는 기술입니다. 특히, 이 기술을 통해 아프리카인들이 허리에 두르는 옷이 다양한 색으로 영롱하게 빛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에피소드에서 우리는 이 옷이 매우 특별한 의미를 가지며, ‘단합의 힘’, ‘주변 적 조심’이라는 메시지 등, 이 기술을 통해 코트디부아르 여성들이 서로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여행의 초상화’ 시리즈를 통해 전 세계의 프랑코포니 국가들의 다양한 면을 만나보세요!

    Le “wax” est une technique de cirage qui donne aux pagnes africains des couleurs chatoyantes. Dans cet épisode, on apprend que les différents motifs des pagnes ont des significations bien particulières et ont permis aux femmes ivoiriennes de faire passer une variété de messages, de “l’union fait la force” à “gare aux rivales”…

    Avec ¨Portraits de voyages” découvrez les multiples facettes de la francophonie autour du monde !

     

     

                                    https://tv.naver.com/v/8375553                                                  

    Load More...
  • ko 안동 밥집, 당북식당

  •  

    안동에서 순대국이 맛있는 집이 의외로 드물다.

    당북식당은 갈비탕이 유명한 집인데, 순대국도 내놓는다.

    저녁시간인에 의외로 가게안이 한적하다.

     

    특히, 허전하고 속이 시린날, 생각나는 국물음식이 갈비탕과 추어탕과 순대국인데,

    오늘은 순대국으로 속을 달래본다.

    직접 담근 깍두기는 반가운데, 김치는 그저 그런 맛이다. 

    다만, 메인 메뉴인 순대국밥에 국물맛이 깊고 비리지 않다.

    순대도 알차고, 고기도 깔끔하다.

    이 정도면 만족.

     

    매운맛을 좋아하는 이들을 위한 푹소추에 빨간 고추까지 색깔까지 챙겨주는 배려.

    “엄청 매우니까 조심하세요!” 라고 신신당부하는 걸 보니 나는 안 먹는 걸로.

     

    메뉴가 단촐하니, 이 집 다시 한 번 더 올 것 같다. 왠지 신뢰가 가는 집이다.

    기본 고기국으로 할 수 있는 메뉴는 단 세가지!

    순대국도 좋지만 갈비탕이 유명하고 해장국도 맛나기로 알려진 집이다.

    -위치는, 안동시 당북동 96-3번지 1층

    -전화는 858-0098

     

     

     

    Lo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