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존 EC2는 기본적으로 pem, ppk 두개를 생성해줍니다. 그 외에 rsa등을 포함한 private key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장 쉬운 방법 – TextWrangler
설정이 간단합니다. OS X에 있는 ssh config를 그대로 사용하거든요.
~/.ssh/config 파일을 생성하거나 편집합니다.
Host “원하는 이름”
HostName “호스트네임, 혹은 주소”
User ubuntu (아마존 EC2는 ubuntu가 기본이라 이걸로 써 두었습니다.)
IdentityFile “private key 경로”
TCPKeepAlive yes (없어도 되지만 있는게 편합니다.)
이렇게 세팅하면 모두 준비가 되었습니다.
다음단계는 TextWrangler에서 지정한 이름을 넣어주면 됩니다. sftp를 선택하고 나머지는 비워두면 되구요. 한번 접속을 하고 나면 경로를 포함해서 북마크에 저장됩니다.
From Bare Bones Software, makers of the legendary BBEdit, comes TextWrangler. This award-winning application presents a clean, intelligent interface to a rich set of features for high performance text and code editing, searching, and transformation. TextWrangler’s best-of-class features include “g…



더 좋은 방법 – SublimeText + rsub
Sublime Text is a sophisticated text editor for code, markup and prose. You’ll love the slick user interface, extraordinary features and amazing performance.
이 방법은 세팅에 몇단계가 더 필요하지만 실제로는 가장 사용하기 쉽습니다. 위에서 편집한 ~./ssh/config 에 두 줄이 더 들어갑니다. ForwardAgent는 없어도 동작합니다. 참고한 페이지에서 넣어두었길래 저도 따라 넣었습니다.
For those of us who don’t want to use vim, nano, or emacs in the terminal on an AWS EC2 instance (or any remote machine), here’s a solution. You can use …
RemoteForward 52698 127.0.0.1:52698
rsub이 사용하는 서버의 52698 포트를 로컬호스트 127.0.0.1의 같은 포트번호로 포워딩해서 사용합니다.
RemoteForward를 사용하더라도 ssh에 접속하거나 textwrangler를 사용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포워딩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으니 굳이 설정을 하나 더 만들 필요도 없구요.
ssh config를 편집하고 나서 아래의 경로에서 Install Packge – rsub을 선택합니다.




클라이언트, 그러니까 sublimetext 쪽은 작업이 끝났습니다. 이제 서버에 rsub와 세트를 이루는 rmate를 설치합니다.
sudo wget -O /usr/local/bin/rsub https://raw.github.com/aurora/rmate/master/rmate
이 상태에서
$ls -ls !$
해보면 실행 퍼미션이 없습니다. 실행퍼미션을 추가합니다.
$sudo chmod +x /usr/local/bin/rsub

이제 서버를 리스타트합니다. 그리고 sublimetex도 껐다가 켜주구요. 그리고 나서 다시 접속합니다.
$ssh samplehost01 (ssh config에서 정한 이름)
로그인한 상태에서 원하는 파일을 엽니다. 명령어는 rsub입니다.
$rsub 파일명
내 컴퓨터의 sublimetext 에서 파일이 열립니다.
이제 로컬에서 편집하고 저장합니다. ssh에서 직집 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원하는 퍼미션으로 실행할 수 있으니 정말 편합니다.
서버와 sublimetext는 꼭 리스타트해야 제대로 동작합니다.
rsub 명령은 뒤에 &를 붙이지 않아도 알아서 프롬트로 나갑니다. 그러니까 여러개의 파일을 열면 탭에 하나씩 열립니다.
만약 A컴퓨터에서 이렇게 쓰고 있는데 B컴퓨터에서 접속해서 rsub 명령으로 파일을 열더라도 A컴퓨터의 새 탭에서 열립니다. 동시에 두 곳에서 쓰려면 클라이언트마다 다른 포트를 할당해야 합니다. 이 부분은 다시 업데이트하겠습니다.
Be the first to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