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 OS X에서 한영 전환키를 커맨드 스페이스로 바꾸는 방법

Updated on September 23, 2021 | 2527 Views No Category
1 on November 23, 2018

클래식 맥 OS에서부터 최근 몇년 전까지만 해도 스페이스바 옆의 Command + Space 키가 한영전환 기본 키였습니다. 그러다가 Spolight Search가 이 키 조합을 사용하면서 한영 전환키의 기본 세팅이 바뀌었습니다.

한영 전환을 커맨드 + 스페이스로 바꾸는 작업은 단순합니다. 스포트라이트 서치의 키를 다른 것으로 바꾸고, 한영전환을 원하는 키 조합으로 바꾸면 됩니다

영문 OS X를 쓰고 있어서 이름은 영어지만 아이콘과 배열이 같으니 이 상태로 설명합니다.

로켓모양의 론치패드, 혹은 런치패드라고도 읽더라구요. 누르면 톱니모양의 System Preferences 가 나옵니다.

이걸 누릅니다.

그리고 나면 위의 익숙한 화면이 나옵니다. 제 경우는 이걸 아예 Dock에 올려두고 씁니다. 의외로 쓸 일이 많습니다.

여기에서 키보드 (위에서 두번째줄 왼쪽에서 세번째)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보이는 탭에서 Shortcuts (단축키)를 선택하면 아래 화면이 보입니다.

왼쪽에 입력소스 (Input source)와 스포트라이트 서치 (Spotlight)를 볼 수 있습니다

 Spotlight를 먼저 바꿔보겠습니다. 사진은 이미 변경한 상태구요. 이미 옵션+스페이스로 변경한 것입니다. 참고로, 

중복되면 느낌표가 뜨면서 해당 키를 변경하라고 안내하기 때문에, 어떤 것을 먼저 수정하는가는 상관이 없습니다.

방법은 단순합니다. 마우스로 변경하고자 하는 키 조합을 누르면 입력모드로 바뀝니다. 아래의 모습입니다.

Spotlight -> Show Spotlight search -> ⌥Space 에서

 ⌥Space를 누릅니다. 그리고 원하는 키 조합으로 바꾸면 됩니다.

그리고 나서 Keyboard -> Select the previous input source -> 맨 오른쪽 키조합칸을 누르면 역시 입력모드로 바뀝니다.

이 상태에서 원하는 키 조합을 누르면 변경됩니다. 세개 이상의 입력언어를 사용한다면 previous와 next 둘을 따로 사용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한글과 영어만 사용한다면 둘 중에 한개만 쓰면 됩니다.

  • Liked by
Reply

Be the first to post a comment.

Add a comment

0 on September 23, 2021

손쉽게 바꿀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시스템환경설정(system preferences)이 Dock에 늘 있더라구요.

종종 사용해서 그런지, 아니면 구매당시 부터 그랬는지 모르지만요. 

  • Liked by
Reply
Cancel
Loading more replies
  • ko 유전자의 오버랩

  •  

    남편이 핸드폰 메세지를 보내왔다.

    둘째가 그린 그림이었다.

    핸드폰 메세지로 전달된 작은 사진, 그림을 들여다보고 눈물이 좀 났다.

    마침 그 때 나는 10대때를 더듬고 있었다.

    경북기록문화연구원에서 진행하는 아키비스트 양성 수업 숙제로 자신의 연대기를 쓰고 있었는데,

    내가 열 여덟이던 고등학교때, 빨리 이놈의 지겨운 고등학교를 탈출하고 싶어라며

    학교 중앙에 있던 100여개 가까운 계단 한가운데 드러누워

    친구와 별을 보던 이야기를 적고 있었다.

    졸업하자마자 연극과 시험을 준비하며

    아르바이트하려 찾아간 찻집 사장이 보자마자 던져준 척척한 걸레로

    더러운 변소를 맨 손으로 청소하던 이야길 쓰고 있었다.

    치기어린 꿈과 냉혹하고 비천한 현실 사이에서 휘청거렸지만

    끝내 꿈을 향해 달려가던 때의 이야길 전전긍긍 기록하려 하고 있었다.

    “둘째의 그림속에 니가 있어.”

     

    막연히 생김새가 닮았다하는 말보다 글이나 그림처럼 디테일한 표현속에서 동질감을 느낄때의 공감은 좀 달랐다.

    열여덟 둘째의 그림속에는 내가 들어있었다. 나의 선과 구도, 분위기가 있었다.

    외로워보이지만 리듬이 느껴지고, 바람같지만 차갑지만은 않은 머무는 따스함이 있었다.

    그림에 대한 감상이 남달랐던 건 이유가 있었다.

    며칠전, 둘째에게 안해도 될 잔소리를 하고말았다.

    주말에 그 말을 해놓고 월요일 아침, 안동으로 출근해 일을 하던 내내 불편했다.

    역시 잔소릴 하는 게 아니었어. 특히 사내 아이들에게는…..하고 후회가 됐다.

    평소 제법 잔소리하고 싶어도 참아내고 있다가 생각했는데도 어쩌다 한 번 한 것도 그렇게 마음에 걸렸다.

    부족하지만 거침없이 욕망을 향해 내달리는 십대의 치기가 통과의례이며 열정이기도 하다는 것을 모르지 않으면서

    밀림속 나무를 분재로 만들려는 듯 그렇게 따지고 판단했다.

    쉽게 말해, 옷이나 신발에 신경쓰지 말고 책 읽거나 공부하란 잔소리에 불과했다.

    나도 옷하고 신발 샀으면서, 참고서 대신 패션잡지 샀으면서, 공부는 더 안했으면서, 거짓말하고 포항 바닷가에 놀러도 갔으면서…..

    새삼, 미안하단 문자를 날리기에도 민망스러웠는데, 그림을 보니 미안함이 더 커졌다.

    손바닥안에 딱 잡히는 작고 빨간 노트에 둘째 아들은 매일 몇 개씩 그림을 그렸다.

    옷도 사고 신발도 사고 나이키 한정판의 유혹을 토로하면서도

    영화도 보고 공부도 하고 친구 앨범에 자켓 작업도 하는 틈틈이 그림도 그리는 둘째는

    그렇게 나름대로 열심히 10대의 막바지를 통과하는 중이었다.

    마음에 드는 음악을 찾으면 엄마, 아버지 들어봐 하고 거실 컴퓨터로 앰프를 연결해 틀어주는 아이였다.

    웹자보 만들어주고 오천원 만원 받아 모은돈으로 하나밖에 없는 여동생에게 회색 내복을 사주던 십대였다.

    야간자율학습 시간에 공부는 안하고 계단에 드러누워 빨리 학교를 탈출하려고만 했던

    나의 열여덟보다는 훨씬 당차고 모범적이건만,

    시간과 에너지를 잘 좀 쓰라고 고만, 잔소릴 했다.

     

    그 날, 퇴근길에, 둘째에게 카톡을 보냈다.

     

    아버지가 보내준 니 그림을 봤다. 넌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나

    니 그림을 보니 엄마 그림같았다. 넌 이렇게 열심히 뭔가를 계속 하고 있는데

    엄만 고만 잔소릴 하고 말았다. 넌 참 기특한 사람이다. 미안하다 하고…

    난 삼형제에게 나의 자식이라거나 아이라거나하는 표현을 하지 않으려 노력한다.

    카톡을 보내면서도 ‘기특한 아이’라고 썼다가 지우고 ‘기특한 사람’이라고 고쳐썼다.

     

    더불어, 오늘처럼 유전자의 전이를 넘어 오버랩을 느낄 땐 더더욱 절절하면서도

    한걸음 뒤로 물러서려고 한다. 그것이 나에 머물지 않고 관계에 머물지 않고

    나를 지나 너만의 길을 온전히 걸아가고 열어가 결국, 유전자의 계보나 오버랩을 넘어

    진보를 해보라는 응원이다. 거창한 망상일까.

     

    Load More...
  • ko 2019 내설악

  • 오래 걷는걸 나름 좋아합니다.

    어느 순간, 체력이 예전같지 않고, 의자에 앉아 골아 떨어지는 일이 많아지면서 운동삼아 다시 산에 다니게 되었어요

    16년만에 설악산에 다녀왔습니다.

    마침 단풍 시즌 시작이라는데, 아무 기대 없었던 것에 비해 참 좋았습니다.

    예전엔 한계령 – 서북능선 – 중청 – 소청 – 희운각 – 공룡능선 – 마등령 – 비선대 – 설악동으로 다녀왔었어요. 공룡능선 부심 한번 부리고 싶었던 20대였습니다.

    이번엔 욕심버리고(?) 오색 – 대청 – 소청 – 희운각 갔다가 샛길 못찾고 다시 소청 – 봉정암 – 백담사로 내려왔습니다.

    그래도 26km 정도 걸었습니다.

     

    아침 대청에서의 해맞이

     

    소청 어딘가에서 바라본 내설악과 안깐고추(?)바위

     

    소청에서 희운각 내려가다 보이는 공룡능선. 외설악과 내설악의 경계

     

    무너미고개 주변 전망대에서 보이는 외설악 풍경

    길이 미끄러운지 두번 정도 넘어지고 나니 공룡능선은 포기합니다.

    다시 발길을 돌려 고바위길을 다시 올라 소청으로 컴백하고 봉정암 쪽으로 내려갑니다.

    처음으로 내설악으로 가봅니다.

    내려가다보면 용아장성이 나오고 그 바로 밑에 암자가 있어요. 봉정암입니다.

    부처님 오리지날 사리를 보존하고 있는 곳이에요.

    저런 뒤켠의 멋지구리한 바위가 아래로 쭉 이어져 있어요.

    용아장성입니다. 사진 진짜 못 찍네요 ㅎㅎㅎ 

     

    저 다이빙 바위 아래쪽은 천길 낭떠러지 입니다. 뒤로 구름에 가린 공룡능선이 보이네요.

     

    아래로 내려가면 계곡과 만납니다. 쌍용폭포래요

     

    이제부터는 단풍이 좋네요. 길이 점점 평탄해집니다. 물론 평탄해도 하산길만 10km 넘습니다.

     

    지름은 기회비용없이 한방에 가는거라고 했나요..

    역시 설악산을 먼저 가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Load More...
  • en NPN Germanium transistor list for Fuzz pedals

  • My interest in fuzz pedal came from JMI Tone Bender III reissue which belongs to a friend. this pedal has 3 of OC75 glass tube transistors.

    And, unfortunately, My Sola Sound Bum Fuzz came with 3 of NPN transistors while OC75 is PNP type. then found this web page with germanium and silicone transistor lists

    http://vintageradio.me.uk/info/radiocon_data_trans.htm

    There are 26 of germanium NPN transistors from the data sheets

    ASY28, ASY29

    2N388, 2N388A

    2N1302, 2N1304, 2N1306, 2N1308,

    OC139, OC140, OC141

    AD161

    AC187

    NKT713, NKT773, NKT774, NKT781

    2SD72

     
    Black glass tube NPN transistors are OC139, OC140, OC141 from them.

     
    OC75 is like this according to this web page on alltransistors.com

    Type Designator: OC75 (PNP)

    Maximum Collector Power Dissipation (Pc): 0.125 W

    Maximum Collector-Base Voltage |Vcb|: 20 V

    Maximum Collector-Emitter Voltage |Vce|: 20 V

    Maximum Emitter-Base Voltage |Veb|: 10 V

    Maximum Collector Current |Ic max|: 0.01 A

    Transition Frequency (ft): 0.1 MHz

    Collector Capacitance (Cc): 50 pF

    Forward Current Transfer Ratio (hFE), MIN: 55

    And, for OC139, OC140 is

    Vcb: 20 V / 20 V

    Vce: 20 V / 20V

    Forward Current Transfer Ratio (hFE), MIN: 40 / 75

     
    I’m going to try OC139. simply beccause, OC139 is cheaper than OC140 on ebay. and I’m wondering how Transition Frequency differences work with Fuzz. I’ll update in a few weeks

    Load More...
  • en Astron minimite dry electrolytic capacitors

  •  

    it’s my tweed deluxe 5d3 with Astron cap paper sleeves with Sprague caps inside. TE-1207 for 25uf 25V. and, 16uf 475V for 16uf 450V. I’m still after one more Astron 16uf 450V cap or sleeve. but even dead astron caps are not cheap on ebay. I tried it but the ending price went way further than I expected.

     

    this 5d3 is getting closer to the original shape with the restuff filter caps. the correct switchcraft 1/4 phone plug and 18awg Gaviitt cloth wire are coming to me as well.

    Load More...
  • ko 안동 카페, 카페라이프, 흑임자 베이글

  •  

    안동시 동부동, 카페라이프에서 직접 굽는 베이글 시리즈 중에,

    최근 선보인  흑임자 베이글.

    몸에 좋은 안동산 검은 깨를 갈아 반죽에 넣었다.

    소스 없이 만든 베이글 샌드위치이다.

    단체는, 하루 전에 예약하면 된다.

    첨가물 없이 굽는 카페라이프 베이글은 하루만 지나도 물성이 달라져

    보드랍고 맛있게 먹으려면 당일 아침에 굽는 게 정석이란다.

    보여지는 비쥬얼의 유니크함만큼이나 맛도 케쥬얼하고 영양은 말할 것도 없다.

     

    Load More...
  • en fender tweed champ 5F1 1956 with 6 inch speaker

  • this 6″ speaker has the model name 6EV on it. I guess it’s Oxford from the 6EV. Oxford 8″ was 8EV-29 .

    this Champ had some noise issue even without any input signal. it came from oxidation and fixed instantly with EML contact cleaner. I don’t use the infamous Dexoit anymore. the residue from Dexoit caused some problem on the vintage cloth pushback wires. EML is still the best for tube pins, input and output jacks and plugs, and potentiometers so far.

    the filter caps were alive but the volume level was too law and didn’t sound like a Champ. this Champ sounds getting alive while the new caps are broken in already. the replacement is 33uf+10uf+10uf like my old Champ amps.

    the texture was nice with GE black plate 575. but turned out it sounds great, I mean more like the Champ sound with RCA black long plate 12ax7 from late 50’s. I prefer 8 inch speakers but this 6 inch Oxford still sings 

     

    Load More...
  • ko 안동 밥집, 불금 등갈비집

  •  

     안동시 정하동에 위치한    ” 불금 등갈비집”

    시내에서 다리 하나를 건너 있는 조용한 주택가 동네이다.

    법원이 있어 그 주변으로 상가가 형성돼 있다.

     

    이렇게 나온 갈비찜을 끓이고 약간 조려 먹는 방식.

     

    배추 몇 장 무늬삼아 넣어 구워주는 메밀전이 얇고 담백하다.

     

    달달하고 매콤한 것 좋아하는 이들에겐 좋은 곳.

    살내는 제법 넓고 깔끔하고, 주차가능하고, 입구에서 신발을 벗고 들어가야하는 좌식이다.

     

    • 오전 11시 – 오후 9시 (둘째,넷째 월요일 휴무)

    • 돼지등갈비 만원

    • 찰지고 기름진 곤드레밥이 4천원
    Load More...
  • ko 빈티지 앰프와 기타에 두루두루 쓸만한 접점부활제 – EML

  • 처음 접점부활제를 사본게 80년대 중반에 RC를 하면서였습니다. 그 이후로 여러가지를 접해봤는데 통상 알려진 문제들이 몇가지 있습니다.

    끈적임이 남는 제품

    잡음이 있는 포텐셔미터에 뿌리고 나서 2년도 유지가 되지 않는 제품

    소자나 제품의 인쇄가 지워지는 제품

    그리고, 무엇보다 빈티지 앰프의 cloth wire에 쓰면 스며들어서 맞닿은 선끼리 누전이 생기는 제품이 있습니다.

    실제 경우를 예로 들면, 앰프의 진공관 커넥터에 뿌리면 당연히 회로 안쪽까지 방울이 튑니다. 그래서 소자의 인쇄에 방울방울 얼룩이 생겼고 cloth wire에 스며들어서 서로 닿은 선에서 누전이 실제로 생겨서 어렵게 해결한 적이 있었습니다.

     

    이런 문제는 당연히 없어야 하구요. 여기에 추가로 요구되는 특징은

    이펙터, 잭, 플러그에 뿌리면 명료도에 차이가 있는 제품

    뿌리다가 스피커 콘에 묻어도 얼룩이 남지 않는 제품

    입니다.

     

    쓰다가 잘 보관했던 진공관이나 NOS 진공관의 경우에 보기에는 단자가 멀쩡합니다. 그런데 그 중에 어떤 애들은 EML로 단자를 닦고 나면 음량이 확 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동일한 경험을 기타잭, 앰프 입력잭, 이펙터 잭 등에서 했습니다.

    통상 생각하는 것보다 보이지 않는 표면 산화가 더 많나봅니다.

     

    이 EML 이라는 제품은 다른 문제를 경험하지 않고 잘 쓰고 있습니다. 기타와 앰프에 두루두루 씁니다. 그래도 항상 조심하는게 좋습니다. 앰프에 쓸때는 밖에서 그냥 뿌리지 않고 뒤에 패널을 열어서 커넥터 안쪽에 종이를 대고 씁니다. 어짜피 포텐셔미터에 뿌리려면 패널을 열어야 하니까요. 이렇게 필요한 곳에 뿌리는 것 만으로 있는지도 몰랐던 문제가 해결되기도 합니다.

     

    일단 제가 경험한 접점부활제 중에서는 EML 이라는 제품이 모든 면에서 제일 좋았습니다. 국내에서 유통이 되고 있다는 장점도 있구요.

    겉으로는 반짝거리는 진공관 핀이나 기타, 스피커 커넥터에 뿌리고 나서 놀란 적이 있습니다. 진공관에 뿌릴때에는 관 부분을 잘 감아서 직접 닿지 않게 하는게 좋습니다. 빈티지 진공관은 어떤 종류의 액체건 닿기만 해도 인쇄가 지워지는게 많습니다.

     

    Load More...
  • ko 안동도립도서관 대출증 만들기

  •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봐야겠다!

    는 생각하나로 아침에 맑은 봄 공기를 즐기며 도서관을 향했다.

    도서관에 첫 방문객인 나는 당당하게 말했다.

    도서대출증 만들러 왔다고….. 결과는 불가였다.

     

    관건은, 주소지가 경북이나 안동이 아니라는 점이 문제였다. 

    우선,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경북이어야 한다.

    둘째, 그것도 아니라면 경북 소재지 직장에 일을 한다는 근로증명서나

    확인서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수중에, 있는 주민등록증과 명함으로 대체가 가능할까? 그것도 안 된단다.

     

    다음날, 다시 아침에 맑은 공기를 가르고 도서관으로 향했다.

    내 가방안에는 방송국에 근무한다는 근무확인서가 구비돼 있었다.

    역시 도서관에 첫 방문객으로 들어가 서류를 내밀었다.

    근무확인서와 주민등록증을 제시했는데, 다시 인터넷상에 회원가입을 해야했다.

    대출증 만드는 일이 번거롭다고 느껴진다…

    서울에서 도서대출증 만들때도 이렇게 복잡하지 않았던 것 같다.

    사실 기억이 안 나지만…..

    박완서의  단편소설집을 빌렸다.

    파란색 대출카드도 발급받았다.

    갑자기 도서관 대출증 만드는 일이 좀 더 효율적이고 편했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다.

    타지역 사람들은 간단한 절차만으로 한 권만 빌릴 수 있다던가,

    차라리 보증금을 예치하고 책을 빌려볼 수 있으면(친구의 생각) 하는 생각이다.

    결국은, 책을 읽으려는 이들이 헛걸음하지 않고,

    빌리려는 이들이 빈손으로 돌아가지 않는 그런 여지의 방법들 발이다.

    이렇게 해야 되고, 아니면 안되고 가 아니라

    이렇게 해야하는 게 원칙이지만 이럴 경우엔 이런 방법이 가능하다.

     

    책 안 읽는다고 난리를 치는데, 정작 책 읽은 사람을 지치게 만드는,

    행정을 위한 절차나 관행이 아쉽다.

     

    대출증이 있어도 또 하나 관문이 기계에서 대출 확인을 하는 절차다.

    기계에 책과 대출증을 올리고 대출을 누른다.

    기다렸다가 비밀번호를 누르고, 다시 확인을 눌러야 대출이 완료다.

    비밀번호 잊어먹으면 복잡해진다…

     

    방법을 위한 방법이 아니라,

    책을 읽는 독자가 간편하게 책을 읽고 빌려갈 수 있었으면 한다.

     

    궁금해졌다.

    다른 나라는 도서대출증을 어떻게 만드는지….

     

    Load More...
  • en Yokomo YR-4 special

  • there were more than one, at least two different YR-4 Special models I remember. this one is one of them. it came with carbon graphite top deck, shocks towers, and the chassis. the top deck was fragile and everyone knew it. at the same time everyone wanted to try it as well.

    this YR4 special is pretty much with stock parts except for Tech Racing shock mounting hardware which looks brilliant.

    I don’t have any plan for a racing track in a near future. but this white bulkhead caps brought a magical moment like the one I had yesterday. yeah it’s and addictive hobby. maybe all the hobbies are

     

     

    Lo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