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 맥북 13인치 15인치, 그리고 챔프, 트위드 딜럭스, 베이스맨 소리

Updated on November 10, 2021 | 841 Views all
0 on November 10, 2021

대부분의 경우에 부피, 무게 이런 물리적이고 측정이 쉬운 요소가 소리의 성격에 제일 영향이 큽니다. 맥북 에어보다 맥북프로 13인치의 소리가 더 두툼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편한 소리입니다.

미국이나 영국의 원판 LP, CD와 일본 버전은 마스터링이 다릅니다. 같은 나라에서도 시기별로 일반적으로 음악을 듣는 환경이 다르니 그 시절에 맞는 튜닝으로 다시 마스터링을 합니다. 때로 확연히 더 좋거나 멀리하게 되는 버전도 있구요.

많은 일본판은 넓고 볼륨을 마구 올릴 수 있는 공간보다, 적어도 제게는, 작은 공간이거나 볼륨을 마음껏 높일 수 없는 환경을 기준의 remastering으로 들립니다. 같은 앨범을 두가지 모두 가지고 있는게 제법 있습니다.

앰프의 출력, 부피, 무게, 스피커 이런건 맥을 같이 합니다. 같은 앰프에 다른 스피커와 캐비넷도 그 큰 틀에서 같이 움직이구요. 작은 공간이면 챔프, 딜럭스, 베이스맨 중에서 딜럭스가 제일 음량이 크게 들립니다. 저는 그렇더라구요. 절대적인 기준의 음량이 아니고, 그 공간에서 좋은 질감을 내주는 음량이 작은 공간에서는 너무 크고 공간이 조금 커지면 합주실에서도 마이킹이 필요합니다.

베이스맨은 마이킹 없이 작은 공연도 됩니다. 밴드가 연주할 수 있는 무대가 있는 작은 공연장이나 술집이라면 다 같이 즐거울 수 있습니다. 챔프나 딜럭스 하나 더 두고 같이 마이킹하면 더 좋겠네요.

  • Liked by
Reply

Be the first to post a comment.

Loading more replies
  • ko 안동카페, CAFE LIFE , 여름 메뉴 팥빙수

  •  

              안동 카페라이프, 여름철 메뉴 팥빙수 엽서 작업 과정

     

     

    1. 놋그릇에 직접 쫄인 안동산 단팥과 떡을 넣는다.

      

     2. 우유에 팥을 갈아서 얼음을 만들어 덮는다. 

     

    3. 1번에 넣었던 팥과 떡, 콩고물을 한번더 얼음위에 얹는다.

     

    4. 다시 단팥, 우유 얼음으로 덮고 인절미를 토핑으로 얹어준다. 

    콩, 팥, 떡 모두 안동산 재료는 기본,

    카페에서 직접 졸인 단팥에

    근처 방앗간에 더욱 고소하게 주문해 볶은 미숫가루에

    역시 방앗간에 직접 주문해 만든 인절미로

     만들어내는 카페라이프의 정성 가득한 팥빙수 한 그릇.

    레시피와 실사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2학년 JAKE 군은 엽서 작업에 들어갔다. 

     

    러프한 초안

    1차 시안

     

    2차 시안 (낙점된 그림)

    애써 정성들여 공들여 만드는 팥빙수도 그렇지만 

    기성 작가가 아닌 고등학교 2학년 학생에게 엽서제작 의뢰를 맡기는 선택과 안목.

    여기에,  JAKE 군을 감동시킨 특별한 선물에서 느껴진 뜨거운 마음씨. 

    밤늦게 작업을 끝낸 JAKE 군은 결국, 그런 마음에 보답하려 선물을 준비하느라 

    밤을 새고 월요일 아침에 학교로 갔다.  

      안동 가서 직접 전해주라고 전하며. ..

    (작업을 의뢰한 그녀가 애정하는 기린을 모티브로 한 그림선물. )

    우리는 모두 설레는 마음으로 그녀의 안목이 다시 가미돼 탄생할

                                카페라이프의 여름  팥빙수 엽서를 기다리고 있다.  

     

    <4년전쯤, JAKE군이 중학교 1학년 때, 기린을 애정하는 그녀에게 선물한 그선물>

    지금 그림이 기린의 머리뼈가 메인이라면, 4년전에 그린 그림은 기린의 한쪽 눈이었다. 

             역시 이번 작업도 마음을 나누고 전하는 소중한 경험이 되었다. 

     

     

     

     

     

    Load More...
  • ko 안동시·경북문화콘텐츠진흥원, 오감콘텐츠 육성센터 입주기업 모집

  •  

    안동시가 경북문화콘텐츠진흥원과 함께 구도심 되살리기에 나섰다.

    우선, 비어있는 상가를 중심으로 콘텐츠 육성센터를 조성해,

    “오감(五感)을 활용한 콘텐츠 관련 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또, 오감(五感)을 활용한 콘텐츠 재생산과 관련 기업의 자생력을 돕고

    특화된 판로개척을 위해 공간 임대료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신청은, 5월 22일부터 6월 21일까지이고, 지원은 2년간이다.

     

     

    Load More...
  • ko Stella doll handmade 10. 패브릭 인형, 토끼

  •  

    돌잡이 아이의 선물로 만든 패브릭 인형이다.

    인형 발치에 선물받을 아기의 이름을 새겼었다.

    평소에 인형을 보관하거나 휴대할 때 유용하라고 주머니도 만들었다.

    천연염료로 색을 내 나뭇잎을 찍어 꾸몄다.

     

     

    Load More...
  • ko Belton 진공관 소켓이 한국회사였네요

  • 며칠 전에 우연히 알게 되었습니다. 그걸 모르고 미국서 주문해서 쓰고는 했었습니다. 운송비까지 생각하면 세배 정도의 비용이었습니다. 이렇게 좋은 품질의 진공관 소켓이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지고 있다는게 기분 좋네요.

    Belton 홈페이지에서 바로 구매가 가능합니다.

    http://belton.biz/eshop/list.html?cgCode=14

     

    Load More...
  • ko 암페렉스 vs. RCA 12AX7 – 트위드 챔프, 딜럭스

  • 챔프에 있던 RCA 12ax7이 깨지면서 다시 암페렉스하고 RCA를 구했습니다. 깨진 녀석은 숏플레이트이고, 이번에는 롱플레이트입니다.

    암페렉스는 쓰던거나 새거나 예열시간 약간 다르고, 별 차이가 없습니다. 그냥 음량도 크고 고음부터 저음까지 퍼짐없이 선명하고 단단하게 때려줍니다. 딜럭스는 천천히 열이 오르는 앰프인데 RCA하고 쓰면 더 그렇게 느껴집니다. 그러다가 한 순간에 확 살아나면서 넘실거립니다. 이게 암페렉스가 더 빠르네요. 대신 RCA는 그 맛이 다르고 멋집니다.

    암페렉스는 진작부터 여분을 구해두려고 하고 있었습니다. 자기 브랜드가 찍힌 진공관 가격이 올라가면 결국 다른 상표로 팔린 것들도 오르더라구요. 궁금하지만 텔레풍켄은 시도해볼 가격대가 아니었고 여전히 그렇네요.

    알고보니, 필립스가 암페렉스와 멀라드를 운영했고 같은 관을 홀란드하고 영국에서 만들었습니다. 언제부터 필립스가 이 두회사를 소유했는지는 모르지만 적어도 제가 가진 암페렉스는 모두 동일하고 ebay에서 찾아본 멀라드도 상당수는 같은 제품이네요.

    암페렉스와 RCA, 둘을 비교하면 독일산과 미국산 엔진이나 자동차처럼 연상하게 되기도 합니다. 어떻게 보면, 암페렉스는 엔진같고 RCA 블랙플레이트는 장작불같습니다.

    앰프 파워부가 큰 틀을 만들겠지만 어떤 프리관과 앰프 조합은 이 정도로 성격에 변화를 줄 수 있다는게 재미있습니다. 챔프에서 차이가 확연하니까 딜럭스에서도 이리저리 해봤고, 친구의 실버톤 하이게인 앰프로도 해봤습니다. 이런 성격 차이는 트위드 앰프에서 더 두드러지는거 아닌가 합니다.

    아래 사진에 실바니아 롱 플레이트가 있는데 딜럭스에서 음량과 질감이 좋고 모든 대역 잘 들립니다. 같은 마킹의 관이 두개 있었습니다. 이건 그리스 포스트가 copper (구리)인데 그 영향인지 수치가 좋아서인지 다른 60년대 관에 비해서 해상도가 좋습니다. 대신 챔프에 넣으면 제가 좋아하는 톤 기준에서 좀 먹먹하구요. 대체로 어떤 관을 써도 딜럭스하고는 잘 어울리던데 챔프는 숏플레이트하고 잘 맞네요.

    어떤 진공관은 새거 넣고 며칠 지나야 제 음량이 나오는 것 같은데 그게 그냥 기억인지 정말 그랬는지 모르겠습니다.

    위 사진에서 맨 왼쪽이 암페렉스 Bugle Boy구요. 중간에 흰색으로 12AX7 써 있는 관도 암페렉스 생산에 필립스 상표입니다. 저 플레이트는 생산량이 많아서 아직 NOS가 많습니다. 암페렉스와 멀라드 각각각 다른 플레이트가 있고 희소성 때문에 가격이 높습니다. 또 같은 관이 텔레풍켄이나 지멘스 상표이고 독일 생산인 경우도 있습니다.

    대체관

    최근에 알게 된 것인데, 앰프 성향을 조금 바꿔줍니다. 딜럭스의 12ay7을 12at7으로 바꾸면 브레이크업되는 맛이 챔프 같습니다. 챔프의 5y3 정류관을 5v4g로 바꾸면 챔프가 더 딜럭스에 가까워지는 느낌입니다. 이 두개는 꽤 유용하고 매력적이네요. Jensen P12R부터 P12N 사이에 하나 고르는 것과 비슷한 느낌입니다.

    업데이트 – 12at7은 12ax7 보다 게인은 낮지만 출력은 높다는 내용을 최근에 읽었습니다. 앰프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있을 수 있다는게 객관적인 내용이고, 개인적으로는 잘 쓰고 있습니다.

    Load More...
  • ko 안동도립도서관 대출증 만들기

  •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봐야겠다!

    는 생각하나로 아침에 맑은 봄 공기를 즐기며 도서관을 향했다.

    도서관에 첫 방문객인 나는 당당하게 말했다.

    도서대출증 만들러 왔다고….. 결과는 불가였다.

     

    관건은, 주소지가 경북이나 안동이 아니라는 점이 문제였다. 

    우선,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경북이어야 한다.

    둘째, 그것도 아니라면 경북 소재지 직장에 일을 한다는 근로증명서나

    확인서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수중에, 있는 주민등록증과 명함으로 대체가 가능할까? 그것도 안 된단다.

     

    다음날, 다시 아침에 맑은 공기를 가르고 도서관으로 향했다.

    내 가방안에는 방송국에 근무한다는 근무확인서가 구비돼 있었다.

    역시 도서관에 첫 방문객으로 들어가 서류를 내밀었다.

    근무확인서와 주민등록증을 제시했는데, 다시 인터넷상에 회원가입을 해야했다.

    대출증 만드는 일이 번거롭다고 느껴진다…

    서울에서 도서대출증 만들때도 이렇게 복잡하지 않았던 것 같다.

    사실 기억이 안 나지만…..

    박완서의  단편소설집을 빌렸다.

    파란색 대출카드도 발급받았다.

    갑자기 도서관 대출증 만드는 일이 좀 더 효율적이고 편했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다.

    타지역 사람들은 간단한 절차만으로 한 권만 빌릴 수 있다던가,

    차라리 보증금을 예치하고 책을 빌려볼 수 있으면(친구의 생각) 하는 생각이다.

    결국은, 책을 읽으려는 이들이 헛걸음하지 않고,

    빌리려는 이들이 빈손으로 돌아가지 않는 그런 여지의 방법들 발이다.

    이렇게 해야 되고, 아니면 안되고 가 아니라

    이렇게 해야하는 게 원칙이지만 이럴 경우엔 이런 방법이 가능하다.

     

    책 안 읽는다고 난리를 치는데, 정작 책 읽은 사람을 지치게 만드는,

    행정을 위한 절차나 관행이 아쉽다.

     

    대출증이 있어도 또 하나 관문이 기계에서 대출 확인을 하는 절차다.

    기계에 책과 대출증을 올리고 대출을 누른다.

    기다렸다가 비밀번호를 누르고, 다시 확인을 눌러야 대출이 완료다.

    비밀번호 잊어먹으면 복잡해진다…

     

    방법을 위한 방법이 아니라,

    책을 읽는 독자가 간편하게 책을 읽고 빌려갈 수 있었으면 한다.

     

    궁금해졌다.

    다른 나라는 도서대출증을 어떻게 만드는지….

     

    Load More...
  • 몇시간 전까지 이런게 있는 줄도 몰랐습니다. i61 이라는 코드가 뭔지 찾다가 암페렉스와 같은 필립스 산하의 Valvo 진공관을 꺼내봤습니다

    필립스 계열의 Amperex, Mullard, Valvo 등의 진공관 코드를 보는 방법은 여기에 있습니다.

    https://www.radiomuseum.org/dsp_multipage_pdf.cfm?pdf=philipscodelistab.pdf

    이걸 조금 더 풀어서 설명한게 여기 있구요.

    http://www.audiotubes.com/mullcode.htm

     

    제일 오래 써온 암페렉스 12ax7 입니다. 잘 보이지 않지만 I65 코드가 보이고 그 아래에 Delta(𝛥)1I4 이렇게 써 있습니다. 1 다음에는 i 대문자입니다. 위에 있는 방법대로 decode 해보면 홀란드(네덜란드) Heerlen 공장에서 1961년에 만들었습니다. 그 뒤에 대문자 i는 9월 4는 넷째주입니다.

    i65에서 i6가 모델명이고 마지막 5는 batch 넘버입니다. 그러다면 i6 뒤에 숫자가 어떻게 붙더라도 같은 모델입니다.

    생산지 코드를 보니 재미있습니다.

    𝛥(delta) = Heerlen, 네덜란드 (암페렉스)

    B = Blackburn, 영국 (멀라드)

    D =  Hamburg, 독일 (Valvo)

    L =  Bruxelles, 벨기에 (Mazda, 일본회사 아님) 

    그리고 쭉 보면 베를린의 텔레풍켄도 있고, 암페렉스의 미국 뉴욕 공장도 있구요. 멀라드 공장은 유난히 많이 보입니다. 

     

    두번째는 잘 보이지 않지만 역시 i65 𝛥5K3  입니다. 같은 i6 모델의 번째 batch이고 같은 홀란드 Heerlen 공장에서 65년에 만들어졌습니다.

     

    이건 특이하게도 모델넘버를 찾지 못했습니다. 모든 구조는 위에 두개와 동일합니다. 대신 마킹이 12ax7 대신에 12ax7a 입니다. 60년대 관에서 두 차이는 없는걸로 알고 있구요. 얘는 𝛥8E4 입니다. 같은 공장 출신이고 1968년 5월 네번째주 생산품입니다.

     

    1956년까지의 코드는 연도를 보는 방법이 조금 달랐습니다.  D는 독일 Hamburg, 그 뒤에 소문자 k는 1955년 10월입니다. rX가 EL84의 모델명이고 마지막 P가 batch 넘버입니다. 여길 보니 EL84가 1953년부터 나왔다니 맞는 것 같습니다.

    http://www.r-type.org/exhib/aaa0028.htm

     

    생산지와 날짜코드를 찾다가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는데 Amperex는 원래 미국회사였네요. 지금까지 네덜란드 회사로 알고 있었습니다.

     

     

    Load More...
  • ko 5f1 챔프 6″ 버전

  • 6″ 버전을 자주 만들지는 않지만 1년에 한두대는 요청하는 분들이 계서서 제작합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가지고 있는 5F1도 6″ 버전입니다. 저는 six inch magic 이라고 부를 정도로, 아름다운 고음과 동물처럼 살아있는5F1 특유의 드라이브 톤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피커의 성격을 결정하는 요소는 몇가지가 있습니다. 8″와 6″ 기준으로 얘기해보겠습니다.

    1. 출력 – 출력이 높으면 프레임이 두껍고 무겁습니다. 8″와 6″ 알니코 유닛은 대부분 8와트 이하, 세라믹 유닛도 20와트 이하로 마그넷의 무게가 두껍지 않아 프레임의 두께 등은 유사합니다.
    2. 보이스코일 – 마그넷이 커지면 보이스코일의 직경이 커집니다. 또 고출력 유닛은 보이스코일의 형태 자체가 다릅니다. 일반적인 원형 코일이 아닌 납작하고 두께가 있는 코일을 쓰거나, 아예 금속 파이프 형태로 코일이 만들어집니다. 동일한 조건에서 보이스코일의 직경이 커지면 저주파 특성이 좋습니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됩니다. 주파수가 낮을수록 에너지량이 큽니다. 낮은 영역은 진동과 열의 영역입니다. 가청주파수는 통상 20hz ~ 20khz (20,000hz) 영역입니다. 빛은 4*10^14hz ~ 8*10^14hz 입니다. 주파수가 높을수록 신호의 영역입니다.
    3. 에너지 – 에너지가 많다는 건 저주파 영역이 더 많다는 뜻입니다. 힘이 세다고 해도 되구요. 결국 보이코일이 크다는 것은 에너지가 많고 저주파가 많습니다. 작으면 저주파의 양이 작으니 고음역이 더 강하구요.
    4. 크기 – 대부분의 10″, 12″는 보이스코일과 마그넷을 공유합니다. 6″와 8″도 그렇습니다. 같은 힘으로 더 작은 표면적과 무게의 스피커를 구동하면 반응력이 좋습니다. 그래서 10″가 더 파워풀하게 들릴 수 있고 6″와 8″도 그렇습니다. 하지만..
    5. 보이스코일 접착방식과 출력 – 앞서 설명한 특수한 보이스코일은 제외하고,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알니코 유닛은 구리선을 감아서 만듭니다. 종이로 된 심지 표면은 끈적거리는 합성수지로 되어 있습니다. 스티커와 비슷합니다. 여기에 보이스코일을 감고 알콜을 발라서 수지가 녹았다가 다시 끈적해지면서 코일을 고정합니다. 여기에서 2가닥의 코일이 콘과 연결됩니다. 이 두가닥의 코일을 심지 가장자리에 접착할때에는 접착제를 사용하구요. 거의 비슷하지만 50년대와 비교하면 요즘 접착방식이 더 좋습니다. 그래서 같은 제조공법으로도 더 굵은 코일을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고, 같은 사이즈 유닛의 출력도 요즘 제품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서 오리지날 P8U, P8R등은 모두 5와트 전후입니다. 요즘 P8R은 20와트입니다.
    6. 정밀한 영역 – 8인치와 6인치 풀레인지 알니코 스피커는 출력에 따라 3/4″, 혹은 1″ 보이스코일을 사용합니다. 헌데 그냥 3/4″, 1″를 쓰지 않습니다. 이걸 기준으로 각 스피커 모델에 따라 아주 미세하게 더 크거나 작게 만듭니다. 또 마그넷과 보이스코일의 간격을 최소화할수록 고음역대가 정밀하게 재생됩니다.
    7. 결론 – 잘 만들어진 6″ 유닛은 저음이 전혀 부족하지 않습니다. 물리적인 표면적의 차이로저음은 8″보다 덜 들리지만 인지하기 어려운 수준입니다. 다양한 6″와 8″ 스피커를 섞어서 사용해보면 어떤 6″ 유닛은 어떤 8″ 유닛보다 저음 특성이 더 좋습니다.

     

    Load More...
  • ko 5751 GE vs. RCA 블랙플레이트

  • RCA Command 5751은 그냥 좋습니다. 텔레풍켄이던 암페렉스던 12ax7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종류의 선명함, 미국관 특유의 찰랑거림과 어떤 프리관에서도 나오지 않는 입체적인 오버드라이브가 있습니다.

    GE 5751 두개가 있습니다. 하나는 Command 5751 판매자가 그냥 보내줬습니다. 경매로 25불인가에 Command 시리즈를 샀는데 거기에 공짜로 5751을 끼워준건 놀라운 일이었습니다.

    아래 사진에서 맨 왼쪽, 그 아래 사진에서 중간에 있는 66년 녹색 마킹입니다. 흰색 마킹이 19불에 구한 55년산 블랙플레이트 GE 5751입니다.

    미국산 암페렉스 12ax7을 같이 찍었습니다. 이건 질감이 5751하고 다르지만 이상하게 비슷하게 느껴집니다. 여전히 12ax7 특유의 꽉 찬 대역과 유럽산 암페렉스보다 큰 음량도 매력적이구요. 오래 쓴 것도 암페렉스는 음량이 큽니다. 그 중에 더 큰 관이 있고 그게 미국산이라는게 재미있습니다.

     

     

     

    5751은 브랜드와 무관하게, 그리고 12ax7 대신에 쓰면 놀라운 질감을 경험하게 해줍니다. 특히 기타 오버드라이브 질감은 텔레풍켄도 암페렉스도 따라갈 수 없습니다. 5751만 가능한 입체감이 따로 있습니다.

    그런데 GE 5751은 두개 모두 NOS 이고 두개 내부의 triode 밸런스도 완벽합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필라멘트 센터탭이 없이 그라운드와의 사이에서 6.5v를 공급하는 오리지날 챔프에서는 60hz 험이 있습니다. 60hz 험이 있으면 그만큼 거기에 에너지를 써서 그런지 무언가 부족합니다.

    트위드딜럭스도 마찬가지로 센터탭이 없는 히터입니다. 푸시풀이라 험에 더 강하지만 여전히 잘 들립니다.

    유독 복각 5F1 챔프에서는 두개 모두 60hz 험이 전혀 없습니다. 복각과 오리지날 모두 Roederstein 33uf + 필립스 10uf 두개로 필터캡이 같습니다. 둘 다 저항들 수치가 정상이고 커플링캡, 바이패스 캡 상태 문제가 없구요.

    RCA Command 5751과 음질이나 음색은 GE도 비슷합니다. 생산시기와 구조가 다른 두개의 GE 5751에서 같은 문제가 있다는게 묘한 우연입니다. 마침 동네에 Five Star 5751 가지고 계신 분이 있어서 비교해보겠습니다. 아직까지는 GE도 블랙플레이트가 더 좋네요.

    아래 있는게 Command 5751 블랙플레이트입니다. 마법같습니다. 5751 중에서 하나를 고르라면 블랙플레이트 Command 5751, 그리고 프리관 중에 몇개를 고르라고 해도 이걸 고르겠습니다. 

     

    Load More...
  • ko 센트럴시티, 경부선 고속버스 택배 접수위치가 통합되었네요.

  • 큰 박스를 들고 센트럴시티로 갔다가 다시 경부선 쪽으로 갔다가.. 결국 경부선 건물 반대편 끝까지 가야 했습니다.

    경부선, 호남선 모두 제로데이택배 라는 업체로 통합이 되었구요. 도착지점 상관없이 모두 이곳에서 접수합니다.

    센트럴시티 주차장 그냥 지나고, 경부선 주차장 그냥 지나고 세번재 입구로 들어가야 합니다. 사무실은 밖에서 보이는 위치에 있구요.

    전화번호는 1588-5295 입니다.

    아.. 당일 오후 5시까지는 당일 찾을 수 있고, 오후 5시 이후 접수분은 다음날 찾을 수 있답니다.

     

    Lo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