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wide panel tweed deluxe 5d3 came to me with weber 12a125a speaker a few months ago. it was a very good combo and the price was fair with the new skin. but, I couldn’t stand the blue color of 12a125a. everything else was good to me and my friends.
I’ve tried a like new ’51 p12r without bell, re-coned ’53 p12r came out ’54 5C3, black ’61 p12n, and this ’51 p12q.
p12q is known as one of the original speakers for fender tweed deluxe. but didn’t have a chance to play with p12q before.
p12q breaks up early like p12r. it was my first question while I was searching this speaker. and the question has solved.
I was obsessed with vintage jensen speakers a while ago. especially with p12n. but it didn’t work well with 5d3 because of the breakup point. or the family and the neighbors.
then p12q came into my mind. the sound was great like p12n even at the lower volume. and breaks up early enough like p12r in my imaginary world before I actually got this speaker. and it came true. I love this setup and won’t change the speaker again.
#fender #tweed #5d3 #P12R #P12N #P12Q
사진 왼쪽부터 소브텍 12ay7, GE 12ay7, GE 12at7 입니다. 소브텍은 트위드딜럭스에 따라왔습니다.
이 소프텍관은 상태에 문제가 있는건지 원래 그런건지, 어떤 12ax7하고 쓰면 문제가 없고 어떤걸 끼우면 천천히 득, 득, 득 소리를 내고는 합니다. 처음 한두달은 문제가 없었으니까 쓰면서 죽은 것 같기는 합니다. 여하튼 소브텍과 JJ는 15년 전에도, 이번에도 저하고 인연이 아니네요.
맨 오른쪽이 GE 12at7 입니다. 얘를 이앰프 저앰프에 넣어봤는데 구관이기는 해도 평범한거라 특별이 어떤 성향이 나오고 그런건 없는데, 12ay7 대신에 쓰면 어떤 앰프를 사서 포장을 뜯고 처음 몇주간 듣는 그런 느낌입니다.
뭐가 게인이고 뭐가 PI인지 몰라서 찾아봤습니다. 프리미어기타 기사에 5E3 회로도가 있고 주석이 쉽게 써 있는걸 찾았습니다. 첫번째 게인스테이지는 12ay7 반마리, 두번째는 12ax7 반마리입니다. 12ax7의 나머지 반은 페이즈인버터구요. 12ax7 계열관은 진공관 하나에 3극관이 두개 들어 있습니다. 그래서 쌍삼극관이라고들 부릅니다.
https://www.premierguitar.com/articles/27459-all-the-worlds-a-gain-stage?page=2
결국 딜럭스는 12ay7, 12ax7 다 쓸만한거 넣어야겠구나 싶습니다.
던컨 포럼에서 찾은 12AX7 계열의 게인값은 이렇습니다.
12AX7 = 100, 12AT7 = 60, 12AY7 = 40, 12AU7 = 17 이라고 하구요. 약간씩의 차이는 있지만 다른 자료들도 다 비슷합니다.
https://www.seymourduncan.com/forum/showthread.php?29521-12AX7-vs-12AT7-vs-12AU7
1. 12AX7 자리에 12AT7을 넣으면 음량이 줄어듭니다. 딜럭스에서는 그렇구요. 어떤 앰프에서는 바꿔도 음량 차이는 모르겠고 그렇습니다. 음량 차이는 잘 모르겠구요. 앞서 말한대로 실바니아 관은 특징이 별로 없어어 이 조합도 그렇습니다. 예열되면 소리가 확 좋아지는 미국관 성향도 그대로구요.
2. 12AY7 자리에 12AT7을 넣으면 음량이 커지고 저음부 어택이 단단하고 선명합니다. 이건 차이가 바로 나타나네요. 필터캡 용량을 키웠을 때하고 비슷합니다. 특히나 출력이 커서 힘이 더 필요한 P12N하고 쓸 때가 좋습니다.
[업데이트]
며칠 써보고는, 그냥 원래대로 12AY7과 12AX7으로 넣었습니다. 둘의 차이는 톤 노브를 조절하는 정도인데, 굳이 원래 스펙과 다를 필요가 없다 싶어서요.
my jenen P12R came back from the re-cone job at my local speaker repair shop. this new cone I got off ebay doesn’t look like the original as I expected. but it still sounds very close to my silver P12R speaker came from the friend who gave me this P12R.
this tweed deluxe 5D3 came from December 1954. and the speaker came from a ’54 5C3. the date code one the speaker is 1953. they are like a family.
it’s not easy to pick only one speaker for my tweed deluxe so far. P12n is a great sounding speaker with it’s chime and volume. but I want a jensen which is crispy at the lower volume. maybe the bell cover doesn’t affect the sound. but me and the friends tested two different jensen p12r came from the same era. and the result was different at low volume in 5C3. and most of all, p12r looks way better with the bell.
it sounds really good with it’s look. even I like that red safety sticker on the bell.
#fender #tweed #5d3 #p12r #12n
I once lost my original handle few months ago. then tried Jayco and Fender handle at the time. the first one I got from fender didn’t fit tweed champ like this.
two different leather handles from Fender. both don’t fit the old champ
003-6129-049 arrived today. unfortunately, it doesn’t fit either. this 9″ handle from Fender has identical length to the 50’s original. but the slots are not wide enough. but it still better than 099-0945-049. it looks easy to extend the slots.
And, I noticed 003-6129-049 fits the original wide panel tweed deluxe. this tweed deluxe currently has Jayco handle on it. they look almost identical to each other. and, I see the sewing stitches are better on Jayco.
기타 코드를 왼쪽 리이슈와 오른쪽 오리지날에 옮겨 연결하면서 연주합니다.
소리 성향은 비슷하지만 앰프 주인이 말한 것처럼 리이슈는 담요를 한장 덮은 것 같이 답답합니다. 둘 다 NOS 튜브를 사용했구요. 스피커가 아직 길들지 않은 차이를 감안해도 비슷한 톤에 아주 다른 느낌입니다.